
1.이벤트 버블링 버블링: 특정 화면 요소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상위 요소로 전달되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것을 의미한다. 위그림의 구조이다. 모두 클릭이벤트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예시 타겟:클릭한 이벤트 요소 P태그(타겟) 클릭시 이벤트가 발생하고 그다음 #div2인 div에 이벤트가 발생하고 그다음 #div1인 div에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를 버블링 이라고 한다. 이러한 버블링이 일어나는 이유는 브라우저가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식 때문이다. 2.이벤트 캡처링 타겟:클릭한 이벤트 요소 말그대로 반대로 진행되는 이벤트 전파방식이다. #div1인 div태그(타겟) 클릭시 그다음 #div2인 div에 이벤트가 발생하고 그다음 p태그에 이벤트가 발생한다. 이를 캡처링 이라고 한다. JS코드에선 캡처링을 TRUE..

RDBMS를 알기 전 기초지식 Databse란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 방식으로 저장된 구조화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체계적인 집합을 의미한다. DBMS란(DataBase Management System)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 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SQL이란(Strucured Query Languag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료의 검색과 관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과 수정, 데이터베이스 객체 접근 조정 관리를 위해 고안되었다. DBMS는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주고 데이터..

CSP:Content Security Policy 콘텐츠 보안정책 문서 (또는 웹 페이지)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HTTP 응답 헤더의 이름입니다. Content-Security-Policy 헤더를 사용하면 JavaScript, CSS 또는 브라우저가로드하는 거의 모든 리소스와 같은 리소스를 제한 할 수 있습니다. 쉽게말해 브라우저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소스에 관계없이 페이지에서 요청하는 코드는 무엇이든지 다운로드하여 우리에게 보여준다. 그렇다보니 악성코드도 다운받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 우리가 신뢰하는사이트, 가져올 콘텐츠를 미리 정의 하는것을 말한다. 예시 Content-Security-Policy: script-src 'self' https://apis.google.com apis.goo..

RSS 어디서많이 들어보았고 위에있는 로고도 어디선가 본적이 있는거 같다. 그리고 Tistory가입후 둘러보던중 RSS 피드라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궁금증이 들었고 정리를 해볼려고 한다. RSS(Rich Site Summary) : 풍부한 사이트의 요약이다.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다양한 사이트들의 업데이트 되는 최신정보들을 한눈에 볼 수있도록 모아놓는 것이다. ex)뉴스,블로그,방송,날씨,쇼핑등 *사용방법 사람들이 가장 많이쓴다는 feedly이다. 구글로 간단하게 가입하면된다. https://feedly.com/ Feedly – More signal, less noise Keep up with the topics and trends you care about, without the overwhelm...
1년이 반정도 지났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하지않던가. 매번 목표를 세워도 실패하니 구체적으로 세워볼려고 한다. 1.매일 하루 한번 블로그 들어오기 -출첵 느낌 으로 매일 들어오자!! 이 글을 읽자 2.일주일에 5회이상 블로그 포스팅 하기 -도움되고 내게 필요한 정보위주로 하자 3.PHP완벽 파악하기 취지: 기본이 없다. 혼자서 프로젝트 처음부터 끝까지 개발한적이없다, 매번쓰는 기능만 쓰게된다. 계획: (1) 기본을 공부하기위해 생활코딩 강의시청 2021-06-30까지 (2) 추후에 4.브라우저의 작동방식및 기초 완전 파악하기 취지:웹 개발자라면 필수중의 필수라고 할 수있다. 조금씩이라도 확실하게 공부해보자.(주의 매번까먹음) 계획: (1)하루에 한 개념이라도 완벽하게 이해를 해보자. 추가사항 5.NODE ..
안녕하세요. 저는 경력 1년차 웹개발자 입니다. 저는 2019년 11월쯤 국비교육을 통해 코딩을 처음 알게되었습니다. 어릴때부터 컴퓨터와는 멀리 지내어 컴맹이였는데요. 그래서 처음 교육을 들을때에는 간단한 환경설정에서 부터 막히고 간단한 질문을 많이 하는 열등생이었습니다. 하지만 6개월이 지난뒤 취업을 준비했고 취업은 1주일 안에 되었습니다. (이게 좋은건지 안좋은 건지는 아직까지는 모르겠습니다.) 서울쪽과 부산쪽의 연봉은 약 천만원정도 차이가 났습니다. 연봉을 떠나서 결국 저는 부산에 취업을 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하루라도 빨리 경력을 쌓는것이 좋은거라고 생각했거든요. 중요한거는 저의 마음가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어차피 한곳에서 평생 몸담을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거두절미하고 현재 저는 1..
- Total
- Today
- Yesterday
- ㅂㅜ티
- js
- RSS태그#지식
- 네이버노출
- 배열선택자
- EQ
- jQuey
- data속성일때 선택자
- ~`
- 캡처링
- 유입증가시키는방법
- onClick
- domain
- CSP#콘텐츠보안정책#style코드 작성시
- 티스토리
- 도메인개념
- 네이버 노출
- 데이터베이스#RDBMS#스키마
- p
- 도메인이해
- 선택자
- PP
- react
- 검색결과
- CheckBox
- Develop 사전
- ㅏ
- 다짐#개발자#Vlog
- 네이버
- 버블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