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php/7.2/apache2 접속
vi php.ini
1.에러확인
display_errors = ON
기존은 off로 되어 있다. ON을 하게되면 다른 방문자도 확인을 할 수있기 때문이다.
에러 메세지에는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있다. 패스워드,디렉토리 경로 등등
실제로 서비스 할때는 이옵션을 반드시 꺼야한다.
2.캐시 삭제
opcache.enable = 0
php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설정(1: 켠상태,0: 끈상태)
3.업로드 설정
- file_updloads = On
파일 업로드 허용
- upload_max_filesize = 2M
최대 업로드 파일 사이즈
- post_max_size = 8M
POST방식으로 넘겨질 최대 데이터의 사이즈
- max_execution_time = 30
최대 실행시간. 대용량 파일일수록 실행시간 늘려주어야 함. 0으로 설정하면 무한대
- memory_limit = 128M
실행되는 스크립트마다 최대 메모리 소비량.
크기는 memory_limit>post_max_size>upload_max_filesize 순으로 설정해야 함.
4.문법 및 변수
- register_globals = ON
ON을 하면 GET,POST,SESSION등의 변수명 바로 사용 가능
- short_open_tag = ON
php의 형식중 <?php ?> => <? ?>이러한 형식으로 사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5.문자 인코딩 설정
default_charset = UTF-8
위의 설정들을 마쳣으면 아파치를 재시작 해줘야 변경사항이 적용된다.
6.아파치 설정
index.html을 index.php로 설정
cd /etc/apache2/mods-available
vi dir.conf

순서대로 읽는다고 생각하면된다.
7.아파치 재시작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아래 설정들을 적용후 위내용을 입력해서 아파치를 재시작을 반드시 해야만 적용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PP
- 도메인이해
- EQ
- 도메인개념
- jQuey
- js
- react
- CheckBox
- 네이버 노출
- data속성일때 선택자
- domain
- 유입증가시키는방법
- 네이버노출
- RSS태그#지식
- 데이터베이스#RDBMS#스키마
- 배열선택자
- 네이버
- ~`
- ㅂㅜ티
- CSP#콘텐츠보안정책#style코드 작성시
- 선택자
- 캡처링
- onClick
- 검색결과
- 티스토리
- Develop 사전
- ㅏ
- 버블링
- 다짐#개발자#Vlog
- 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