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ReactDom
우선 브라우저에는 Dom(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는 형식)을 이용해서 자바스크립트 및 프로그래밍 언어와 페이지를 연결한다.
ReactDom은 Dom과 React의 컴포넌트들을 이어주는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Render
한글로 만들다라는 의미이다.
예시 코드)
클래스 형식으로 예시
class Test extends Component{
render(){
}
}
위의 코드를 통해 Test라는 컴포넌트가 만들어졌다.
3.State
한글로 상태라는 의미로
컴포넌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객체이다.
class Test extends Component{
state = {
name:dooly
}
render(){
}
}
위의 코드에선 Test라는 컴포넌트의 상태중 name은 dooly 이다.
이떄 이름을 변경하고싶을때
class Test extends Component{
state = {
name:dooly
}
change = ()=>{
this.state.name="둘리"
}
render(){
}
}
change함수를 호출하면 둘리로 바뀔것 같지만
react는 업데이트가 됬는지 안됬는지 알수없다.
그래서 state를 업데이트할때에는
아래처럼 setState함수를 호출해야한다.
class Test extends Component{
state = {
name:dooly
}
change = ()=>{
this.setState({name:"둘리"});
}
render(){
}
}
*setState로 state가 변경되면 react는 알아서 render()를 호출하여 업데이트 된다..
4.Props
컴포넌트 밖에서 주어지는 데이터이다.
State:내부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정의
Props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재공받는다.
Props의 장점은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높일 수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onClick
- p
- 티스토리
- 도메인개념
- RSS태그#지식
- react
- CSP#콘텐츠보안정책#style코드 작성시
- 네이버 노출
- 버블링
- EQ
- ㅂㅜ티
- 유입증가시키는방법
- 데이터베이스#RDBMS#스키마
- 네이버
- PP
- ~`
- ㅏ
- 다짐#개발자#Vlog
- 도메인이해
- 선택자
- 검색결과
- CheckBox
- 배열선택자
- Develop 사전
- 네이버노출
- domain
- data속성일때 선택자
- jQuey
- js
- 캡처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